송승환 시인의 블로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송승환 시인의 블로그

메뉴 리스트

  • 홈
  • 詩
  • 비평
  • 독서
  • 영화
  • 글쓰기
  • 분류 전체보기 (275)
    • 공지 (6)
    • 송승환 (2)
    • 저서 (8)
    • 공저 (3)
    • 시 (8)
      • 당신이 있다면 당신이 있기를 (1)
      • 클로로포름 (0)
      • 드라이아이스 (0)
      • 네 번째 시집 (4)
    • 비평 (38)
      • 전체의 바깥 (16)
      • 측위의 감각 (6)
      • 도래할 책 (8)
    • 독서 (74)
      • 읽을 책 (1)
    • 영화 (40)
    • 음악 (0)
    • 강의 (16)
    • 리뷰 (20)
    • 동영상 (2)
      • 방송 (1)
    • 좌담과 인터뷰 (4)
    • 프로젝트 (24)
      • 외국시 (13)
      • 외국소설 (2)
      • 외국산문 (2)
      • 한국시 (1)
      • 셰익스피어 (0)
      • 그리스 비극 (0)
      • 플라톤 (0)
      • 사뮈엘 베케트 (0)
    • 산문 (3)
    • 단상 (7)
    • 세미나 (3)
      • 2016년 (1)
    • 사진 (11)
    • 여행 (4)
    • 번역 (0)
    • Q&A (1)

검색 레이어

송승환 시인의 블로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민음사

  • 염려하는 주체와 언어의 형식

    2018.09.14 by POETIKA

  • 단테, <신곡-연옥편> 제5곡

    2017.01.22 by POETIKA

  •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

    2015.08.17 by POETIKA

  • 성기완 시집 『ㄹ』

    2015.08.05 by POETIKA

  • 제임스 조이스의 『젊은 예술가의 초상』

    2015.07.21 by POETIKA

  • 이탈리아 소설 2권

    2015.05.12 by POETIKA

  • 발표 평론 목록

    2014.03.06 by POETIKA

  • 강요된 침묵과 언어의 파열― 김경후의 시세계

    2013.03.17 by POETIKA

염려하는 주체와 언어의 형식

―2010년대 한국시의 경향과 특이점: 김복희와 안태운의 시 돌들은 땅 위에 깔려 있다,물 한 방울 짜낼 수 없는 돌들,목덜미를 연상시키는 보통 돌들,보통 돌들, ―비문 없는 돌들.―이오시프 브로드스키 송승환 1. 새로운 언어 없이 새로운 세계는 없다 지난 2016년 10월 29일부터 시작된 촛불집회는 2017년 3월 11일 20차 촛불집회까지 매주 토요일, 서울 광화문 광장을 비롯한 전국의 광장에서 열렸다. 헌법에 기초하지 않은 소수의 권력 남용과 부정부패에 대한 문제제기로서 촉발된 촛불집회는 시민들의 평화적이며 지속적인 참여로 직접민주주의를 실천하였다. 특히, 19차 촛불집회까지 세대와 성별을 가르지 않고 참여한 시민들의 최종 누적 연인원은 1,500여만 명이었는데, 이는 헌법재판소 전원일치로 201..

비평/전체의 바깥 2018. 9. 14. 02:47

단테, <신곡-연옥편> 제5곡

단테, 제5곡 “Purgatorio”, Canto 5: parafrasi del testo che ti fa ciò che quivi si pispiglia?Vien dietro a me, e lascia dir le genti: 김운찬 번역(열린책들)여기서 숙덕이는 말이 무슨 상관이냐?지껄이도록 내버려 두고 내 뒤를 따르라. 한형곤 번역(삼성출판사)여기 재잘대는 소리, 네게 무슨 상관이냐?내 뒤를 따르라, 그리고 저들이 지껄이게 버려두라. 최현 번역(범우사)뭐라고 지껄이든 그게 너와 무슨 상관이냐.맘대로 지껄이게 내버려두고 나를 따르라.

독서 2017. 1. 22. 22:59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

설국저자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출판사문예출판사 | 1999-09-10 출간카테고리소설책소개▶ 2005년 서울대학교 권장도서 ▶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 설국저자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출판사민음사 | 2009-01-20 출간카테고리소설책소개[설국(雪國)]이 (주)민음사에서 새로 번역되어 출간되었다. [... 예전에 문예출판사의 장경룡 번역으로 읽은 적 있는데, 이번에는 민음사의 유숙자 번역으로 읽었다. 장경룡의 번역이 일본어세대의 번역이라면 유숙자의 번역은 한글세대의 번역이라는 차이가 있고 일본문학 전공 여부라는 차이가 있다. 예전의 독서에는 테오필 고티에의 『모팽 양』 서문의 에 대한 독해, 발레리의 드가에 대한 독해가 없었던 탓에, 이번의 독서는 지난 독서보다 심화된 이해를 얻었다. 설국, 인간의 ..

독서 2015. 8. 17. 16:14

성기완 시집 『ㄹ』

ㄹ(리을)저자성기완 지음출판사민음사 | 2012-08-10 출간카테고리시/에세이책소개더 크고 혁명적인 노이즈를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실험... 성기완의 네 번째 시집. 리듬을 만들지만 리듬을 통해 어떤 시적 순간의 성취를 추구하지는 않는다.

독서 2015. 8. 5. 02:06

제임스 조이스의 『젊은 예술가의 초상』

젊은 예술가의 초상저자제임스 조이스 지음출판사민음사 | 2013-12-20 출간카테고리소설책소개예술가는 어떻게 태어나는가 = 우리는 어떻게 성장하는가 [젊은 ... 예전, 문학과지성사 판으로 읽은 적이 있었는데, 20대가 끝날 무렵 읽은 탓으로 돌리면서 그리 매력적인 소설은 아니라고 생각했었다. 그리고 다시 이번 도서관, 세계문학 강의를 위해 민음사 판으로 읽었는데, 여전히 매력을 못느꼈다. 차라리 본격 독일 교양 소설을 읽거나, 윌리엄 포크너를 읽거나 허먼 멜빌을 읽거나 토마스 만의『토니오 크뢰거』를 읽는 것이 나을 듯 싶다. 그러나 20대 초반에 읽었다면 이 평가가 다를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 기회가 있다면 열린책들의 장경렬 번역으로 읽어볼 것이다. 젊은 예술가의 초상저자제임스 조이스 지음출판사열린..

독서 2015. 7. 21. 20:12

이탈리아 소설 2권

다뉴브 저자 클라우디오 마그리스 지음 출판사 문학동네 | 2015-02-27 출간 카테고리 인문 책소개 중부유럽의 젖줄 다뉴브 강을 따라 펼쳐지는 눈부신 데카메론!“강... 시칠리아에서의 대화 저자 엘리오 비토리니 지음 출판사 민음사 | 2009-10-09 출간 카테고리 소설 책소개 "모욕당한 세상"을 분노와 침묵 속에 희망 없이 살아 내던 한 ...

독서 2015. 5. 12. 01:02

발표 평론 목록

2019년시적인 것과 언어의 형식,『현대시』2019년 7월호. 2018년아름다운 현존의 순간적인 삶-이브 본느프와의 시집 『두브의 운동과 부동에 대하여』,『베개』 2018년 3월 염려하는 주체와 언어의 형식―2010년대 한국시의 경향과 특이점: 김복희와 안태운의 시 …『문학들』 2018년 가을호 2017년끝에서 첫 번째 세계— 김경후의 시, 『현대문학』 2017년 11월호.재현의 정치성에서 상상의 정치성으로— 김시종과 김혜순의 시, 『쓺』 2017년 하권.온라인 접속과 디지털 글쓰기의 도래,『파란』 2017년 봄.국경의 오이디푸스와 타자의 언어, 『예장』 2017년 1월. 2016년 빛이 파괴된 세계의 잔존하는 빛— 송승언 시의 이미지 사유, 『현대시』 2016년 9월호.다른 언어와 다른 삶의 가능성― ..

공지 2014. 3. 6. 18:40

강요된 침묵과 언어의 파열― 김경후의 시세계

강요된 침묵과 언어의 파열 ― 김경후의 시세계 송승환 무(無)를 직시하는 인간은 유한(有限)의 인식을 전제한다. 인간 스스로 육체의 한계와 정신의 결함을 절감할 때 유한에 대한 자각은 매우 통렬하다. 갑작스러운 질병과 급격한 노환은 육체가 얼마나 유약한 것인지를 보여주며 죽음은 삶과 함께 항상 공존해왔음을 환기시킨다. 한편 정신은 사유와 성찰을 수행함으로써 세계에 대한 이해와 인간 자신에 대한 탐구를 증진시킬 수 있지만 개인이 다다를 수 있는 최고의 사유와 삶의 깊이는 주체의 거듭된 반성과 저 육체의 한계를 통해 유한성을 다시 깨닫게 한다. 그런 점에서 개인이 육체와 정신을 극단으로 밀고 나가면서 느끼는 임계점은 목숨을 건 도약의 출발점이다. 그것은 삶에서 죽음으로, 있음에서 없음으로, 의미에서 무의미로..

비평 2013. 3. 17. 04:1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송승환 시인의 블로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