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승환 시인의 블로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송승환 시인의 블로그

메뉴 리스트

  • 홈
  • 詩
  • 비평
  • 독서
  • 영화
  • 글쓰기
  • 분류 전체보기 (275)
    • 공지 (6)
    • 송승환 (2)
    • 저서 (8)
    • 공저 (3)
    • 시 (8)
      • 당신이 있다면 당신이 있기를 (1)
      • 클로로포름 (0)
      • 드라이아이스 (0)
      • 네 번째 시집 (4)
    • 비평 (38)
      • 전체의 바깥 (16)
      • 측위의 감각 (6)
      • 도래할 책 (8)
    • 독서 (74)
      • 읽을 책 (1)
    • 영화 (40)
    • 음악 (0)
    • 강의 (16)
    • 리뷰 (20)
    • 동영상 (2)
      • 방송 (1)
    • 좌담과 인터뷰 (4)
    • 프로젝트 (24)
      • 외국시 (13)
      • 외국소설 (2)
      • 외국산문 (2)
      • 한국시 (1)
      • 셰익스피어 (0)
      • 그리스 비극 (0)
      • 플라톤 (0)
      • 사뮈엘 베케트 (0)
    • 산문 (3)
    • 단상 (7)
    • 세미나 (3)
      • 2016년 (1)
    • 사진 (11)
    • 여행 (4)
    • 번역 (0)
    • Q&A (1)

검색 레이어

송승환 시인의 블로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공동체

  • 최근 읽은 책들

    2017.03.24 by POETIKA

  • 공동체, 그 증상과 바깥

    2014.10.13 by POETIKA

  • 발표 평론 목록

    2014.03.06 by POETIKA

최근 읽은 책들

Friedirich Nietzsche의 『비극의 탄생』(1872) 청하판으로 읽었었는데, 이번 학기 소포클레스 비극 강의와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그리스인 조르바』 도서관 강의를 위해 다시 읽다. "나는 시선을 그리스의 저 예술신, 아폴론과 디오니소스로 돌리고 그들에게서 그 깊은 본질과 최고의 목적에서 두 개의 상이한 예술 세계의 생생하고 분명한 대표들을 인식한다. 아폴론은 내 앞에 개별화의 원칙을 미화하는 수호자로 서 있다. 오로지 그를 통해서만 진정으로 허구 속에서 구원을 얻을 수 있다. 반면 디오니소스의 신비한 환호 아래서 개별화의 족쇄는 산산이 부서지고 존재의 어머니들에게, 사물의 가장 내밀한 핵심에 이르는 길은 열린다. 아폴론적 에술로서의 조형 예술과 디오니소스적 예술로서의 음악을 가르는 저 엄청..

독서 2017. 3. 24. 23:41

공동체, 그 증상과 바깥

공동체, 그 증상과 바깥― 서대경과 안희연과 황유원의 시 1. 공동체의 경험    우리는 다섯 친구들이다. 우리는 언젠가 어떤 집에서 차례로 나오게 되었는데, 우선 하나가 나와 대문 옆에 섰고, 그 다음에는 두 번째가 와서, 아니 나왔다기보다는 오히려 수은 방울이 미끄러지듯 가뿐하게 대문을 미끄러져 첫째로부터 멀지 않은 곳에 섰고, 그 다음은 셋째, 그 다음은 넷째, 그 다음은 다섯째가 나왔다. 결국 우리는 모두 한 줄로 서 있었다. 사람들이 우리를 주목하게 되어 우리를 가리키며 이렇게 말했다.  “이 다섯 사람이 방금 이 집에서 나왔습니다.”  그때부터 우리는 같이 살고 있다. 만약 여섯째가 자꾸 끼여들지만 않았다면 평화스러운 생활이었을 것이다. 그는 우리들에게 아무 짓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들은..

비평 2014. 10. 13. 18:54

발표 평론 목록

2019년시적인 것과 언어의 형식,『현대시』2019년 7월호. 2018년아름다운 현존의 순간적인 삶-이브 본느프와의 시집 『두브의 운동과 부동에 대하여』,『베개』 2018년 3월 염려하는 주체와 언어의 형식―2010년대 한국시의 경향과 특이점: 김복희와 안태운의 시 …『문학들』 2018년 가을호 2017년끝에서 첫 번째 세계— 김경후의 시, 『현대문학』 2017년 11월호.재현의 정치성에서 상상의 정치성으로— 김시종과 김혜순의 시, 『쓺』 2017년 하권.온라인 접속과 디지털 글쓰기의 도래,『파란』 2017년 봄.국경의 오이디푸스와 타자의 언어, 『예장』 2017년 1월. 2016년 빛이 파괴된 세계의 잔존하는 빛— 송승언 시의 이미지 사유, 『현대시』 2016년 9월호.다른 언어와 다른 삶의 가능성― ..

공지 2014. 3. 6. 18:4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송승환 시인의 블로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