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거 앨런 포의 「시의 원리」와 「작시의 철학」
송승환
나는 보들레르의 『악의 꽃』(정기수 옮김, 1968, 정음사)을 처음 읽고 어떤 전율 속에서 보낸 시절이 있다. 그 책은 1994년의 내가 다소 읽기에 힘든 세로 판형이었으며 예스러운 한국어 말투와 낯선 번역 문장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내게 큰 충격과 매혹, 열망과 절망을 동시에 안겨주었다. 1861년의 프랑스어가 130년이라는 시간과 일본어와 한국어의 시공간, 그 의미와 언어의 다른 질감을 모두 가로질러서 나에게 어떤 전율을 발생시켰다는 것, 그 자체만으로도 경이로웠다. 나는 그 책에서 보들레르의 운문시집 『악의 꽃』과 산문소시집 『파리의 우울』, 산문집 『인공의 천국』과 『일기: 봉화, 발가숭이의 마음』을 읽었는데, 그 중에서도 『악의 꽃』은 매우 치밀한 의도가 구현된 시집이라는 것을 감각적으로 알아차렸다. 1980년대와 1990년대 한국 시집의 다수는 창작 연대 순서로 차례가 구성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악의 꽃』의 차례는 보들레르가 기획한 심미적 충격과 미학적 완성도를 성취하려는 의도 속에서 구성된 목차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악의 꽃』의 차례는 “우울과 이상/파리 풍경/술/악의 꽃/반항/죽음”의 장(章)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것은 시인이 ‘지금-여기’와 다른 삶을 추구하는 이상에 대한 부단한 상승운동과 그 이상에 도달하지 못하는 추락에서 비롯된 우울, 그 우울한 삶이 지배하는 대도시 파리의 풍경, 도시의 피곤한 일상과 노동을 견뎌내기 위한 술, 기이한 사랑이 피어나는 도시의 악, 그 삶에 대한 반항, 그리고 끝내 죽음으로 치닫는 알레고리의 목차를 품고 있었다. 나는 보들레르가 의도한 시편들의 순서에 따라 감정의 고양과 추락, 이국에 대한 열망과 우울, 기이한 열정과 슬픔을 차례대로 겪을 수밖에 없었다. 더 나아가 보들레르가 모든 시행 안에 장치해놓은 긍정과 부정의 양가적 감정을 동시에 체감하였다. 놀라운 언어의 연금술이 빚어놓은 시적 매력에 도취되면서도 심한 열패감에 휩싸였던 것이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한가, 라는 물음 속에서 보들레르는 내 글쓰기의 첫 번째 스승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인데, 보들레르를 더 읽어가면서 보들레르에게도 스승이 있었다는 것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그 스승의 이름은 에드거 앨런 포.
나는 보들레르의 연보를 살펴보던 중에 보들레르가 포의 소설집 『그로테스크하고 신중한 이야기』와 장편 『아서 고든 핌의 모험』을 번역한 번역가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포의 단편 「검은 고양이」를 처음 읽은 25살의 보들레르가 44세까지 포의 소설을 줄곧 번역하고 출간했다는 점에서 포는 보들레르에게 글쓰기의 스승이었던 것이다. 실제로 보들레르는 「에드가 포에 대한 새로운 노트」에서 “바로 아름다움에 대해 경탄할, 이 불멸의 본능이야말로 우리로 하여금 지상과 그 광경들을 하늘에 대한 일별, 하늘의 조응물로 여기게 하는 것이다. 피안에 있고 삶이 계시하는 모든 것에 대한 끝없는 갈망은 우리의 불멸성에 대한 가장 생생한 증거이다. 영혼이 무덤 너머에 위치하는 모든 찬란한 것들을 엿보는 것은 시에 의해서, 동시에 시를 통해서, 음악에 의해서, 동시에 음악을 통해서”라고 썼다.
그리하여 나는 보들레르를 경유하여 포를 읽었다. 나에게 포는, 「어셔 가의 몰락」과 「검은 고양이」를 쓴 소설가였는데, 포의 단편 전집과 장편뿐만 아니라 시집과 산문, 평론을 모두 찾아가며 읽어갈수록 포는, 무엇보다 시인이었다. 그 중에서도 포의 산문 「시의 원리The poetic principle」(1846)와 「작시의 철학The Philosophy of Composition」(1846)은 그의 작품 세계를 모두 관통하는 원리를 담고 있었다. 그 글들은 보들레르와 함께 내가 글쓰기의 큰 스승으로 삼을 만큼 충분한 창작의 비밀 보고였다.
포는 자신의 시 「갈가마귀The Raven」를 분석한 글 「작시의 철학」에서 “진정한 시적 효과의 정도와 수학적 관계를 가지도록 만들어야 한다. 간결함은 원하는 효과의 강렬함과 정확히 비례한다”고 말하면서 “아름다움이라고 할 때는 그 성질이 아니라 그 효과를 뜻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쾌락은 전적으로 동질감, 즉 반복에서 나온다”면서 작품에 “두 가지는 늘 있어야 한다. 첫째 어느 정도의 복합성, 더 정확하게는 융통성이며, 둘째는 어느 정도의 암시, 즉 의미는 불확실하지만 저변에 깔린 흐름”이라는 조건을 제시한다. 「시의 원리」에서는 “영혼이 시적 감정에 영감을 받아, 투쟁해온 위대한 목표―천상의 미의 창조―에 도달하는 것은 아마도 음악에서일 것이다. 요약하면 나는 언어로 된 시를 미의 운율적 창조라고 정의”한다. 포는 시를 우연과 감정에 의지하지 않고 기하학적 엄밀성에 의한 효과로서 구현하는 음악의 아름다움으로 규정한다. ‘수학’과 ‘효과’, ‘쾌락’과 ‘반복’, ‘복합성’과 ‘암시’, ‘아름다움’과 ‘음악’은 포의 작품 세계를 관통하는 미학적 원리인데, 그것은 지금까지 내가 시집을 구성할 때 고려하는 글쓰기의 원리가 되었다. 이는 보들레르뿐만 아니라 말라르메와 발레리로 계승되는 언어의 수학적 엄밀함이 빚어내는 신비한 음악이며 아름다움에 다다르려는 맹렬한 지성의 탐구 정신이다.
『대산문화』(2019년 겨울)
이면의 순수 언어를 찾아서― 내가 읽은 황현산 (0) | 2015.09.02 |
---|---|
부러진 칼날을 어떻게 할 것인가 (0) | 2014.02.21 |
댓글 영역